-
주식 투자 전략: 가치투자와 성장투자Capital/Stock 2024. 3. 8. 18:00
1. 가치투자
가치투자 가치투자(value investing)란 기업이 달성한 실적에 비해 시장가격이 낮은, 즉 주식시장에서 저평가된 기업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투자 전략을 말한다. 기업이 저평가된 정도를 측정하는 척도로는 장부가치 대비 시장가치(Book-to-Market, B/M), 주가수익비율(Price Earning Ratio, PER), 주가순자산비율(Price Book-value Raito, PBR) 등이 있으며, 해당 척도의 값이 낮을수록 기업이 저평가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가치투자에 대표적인 인물로 벤저민 그레이엄(Benjamin Graham, 1894-1976)이 있다.
벤저민 그레이엄(1): 저평가된 기업
1. 벤저민 그레이엄 벤저민 그레이엄(Benjamin Graham, 1894-1976) 미국의 경제학 교수이자 투자가로, 가치투자의 아버지라고 불린다. 워렌 버핏의 스승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그레이엄이 월 스트리트
vedacube.tistory.com
가치 지표(1): PER, PBR
1. 가치 지표 가치 지표는 기업의 시장가치를 상대적으로 평가하는 지표로, 당기순이익, 자기자본, 매출액, 영업현금흐름 등을 해당 기업의 시가총액과 비교한다. 현재 주가가 기업이 창출하는
vedacube.tistory.com
2. 성장투자
성장투자 성장투자(growth investing)는 가까운 미래에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기대되는 우량 기업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전략을 말한다. 대부분시장에서 주목하고 있는 종목들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기 때문에 성장투자는 가치투자와 반대로, 기업이 달성한 실적에 비해 시장가격이 높은, 즉 주식시장에서 고평가된 기업을 매수하는 경향이 있다. 이로 인해 성장주 포트폴리오의 PER, PBR은 가치주 포트폴리오와는 다르게 다소 높은 편이다. 주식시장에서 기업이 어떻게 평가되고 있는지와 무관하게 기업이 우량한 정도를 측정하는 척도로는 자기자본이익률(Return on Equity, ROE), 총자산이익률(Return of Assets, ROA)등이 있으며, 해당 척도의 값이 값이 높을수록 수익성이 높은 우량한 기업이라고 볼 수 있다. 성장투자에 대표적인 인물로 필립 피셔(Philip Arthur Fisher, 1907-2004)가 있다.
필립 피셔(1): 위대한 기업
1. 필립 피셔 필립 피셔(Philip Arthur Fisher, 1907-2004)는 미국의 주식 투자가로, 1950년대에 처음으로 성장주(growth stock) 개념을 소개했다. 과거의 주가 움직임을 기반으로 매매 타이밍을 잡는 투자 방법
vedacube.tistory.com
수익성 지표(1): ROE, ROA
1. 수익성 지표 두 기업이 같은 수익을 거두었더라도, 더 적은 자본으로 같은 수익을 창출한 기업이 더 우수하다고 볼 수 있다. 수익성 지표는 상대적으로 품질이 좋은 우량한 기업을 판별하기
vedacube.tistory.com
3. 어떤 투자 전략을 선택할까?
가치주와 성장주 역사적으로 많은 투자자들이 그러하였듯, 본인의 성향과 철학에 맞는 투자 전략을 선택해 장기간 꾸준히 실천한다면 만족스러운 수익률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조금이라도 더 높은 수익을 달성하고 싶은 것이 모든 투자자들의 마음일 터. 그렇다면 가치투자와 성장투자 중에 어떤 투자를 하는 것이 좋을까? 한 경제학자가 1927년부터 2014년까지의 미국 주식시장 데이터를 사용해 가치투자 포트폴리오와 성장투자 포트폴리오를 비교해보았다. 이때 가치주는 낮은 B/M 종목, 성장주는 높은 B/M 종목으로 정의하였다. 두 포트폴리오 모두 의미 있는 수익률을 거두었지만, 가치투자가 더 높은 성과를 보였다. 원인에 대해서는 의견이 갈리지만,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 역사적으로 가치주가 성장주를 큰 폭으로 앞섰다는 사실은 분명하다.
4. 가치 성장 포트폴리오
가치주가 성장주보다 더 높은 기대수익률을 달성할 수 있다면 모든 금액을 가치주에 투자하면 될 것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펀드들은 투자 가능한 범위 내에서 가치주와 성장주를 모두 포함한다. 가치주 포트폴리오에서 기대수익률을 오히려 낮추는 성장주는 왜 포트폴리오에 추가하는 것일까? 가치주와 성장주를 혼합하여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면 순수하게 가치투자를 실천했을 때의 고통을 줄여주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가치주와 성장주는 비교적 낮은 상관관계를 보이므로 포트폴리오의 변동성을 줄여줄 수 있다. 가치주와 성장주를 혼합하면 기대수익률은 이전보다 낮아지겠지만 포트폴리오의 안전성을 더 높일 수 있는 것이다.
[함께 읽으면 좋은 페이지]
필립 피셔(4): 성장주 투자 전략
1. 대형성장주와 소형성장주 필립 피셔의 평가 기준으로 선별한 성장주 목록에는 대형주와 소형주가 섞여 있을 것이다. 대형성장주는 향후 성장률 전망이 뛰어나면서도 튼튼한 재무구조를 갖추
vedacube.tistory.com
벤저민 그레이엄(3): 가치주 투자 전략
1. 방어적 투자자의 주식 투자 방어적 투자자가 주식을 선정하는 기준은 단순해야 한다. 그레이엄이 추천하는 네 가지 기준은 다음과 같다. 1. 충분하지만 과도하지 않게 분산투자한다. 보유 종
vedacube.tistory.com
해리 마코위츠: 현대 포트폴리오 이론
1. 해리 마코위츠 해리 마코위츠(Harry Max Markowitz, 1927-2023)는 미국 UCSD 래디 매니지먼트 스쿨(Rady School of Management,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에서 교수로 재직한 경제학자이다. 현대 재무이론의 토
vedacube.tistory.com
참고문헌
- 웨슬리 그레이, 잭 보겔. (2019). 퀀트 모멘텀 투자 기법. (이병욱 역). 에이콘출판.반응형'Capital > Stock'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벤저민 그레이엄(4): 안전마진 (0) 2023.12.29 벤저민 그레이엄(3): 가치주 투자 전략 (0) 2023.12.22 벤저민 그레이엄(2): 방어적 투자자 (1) 2023.12.15 벤저민 그레이엄(1): 저평가된 기업 (0) 2023.12.08 필립 피셔(4): 성장주 투자 전략 (1) 2023.1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