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구학 | 자유도와 Gruebler 방정식Engineering/Mechanism 2023. 5. 19. 18:00
1. 자유도
자유도(degree of freedom, dof)란 고정 프레임을 기준으로 링크의 모양(configuration), 즉 모든 링크의 위치를 결정하는데 필요한 입력의 개수(독립변수의 개수)를 의미한다. 기구의 자유도는 기구를 이루고 있는 모든 강체(rigid body)의 자유도 합에서, 기구를 이루고 있는 관절(joint)에 의한 독립적인 제한조건의 수를 빼면 구할 수 있으며, 식으로 표현하면 아래와 같다.
2. Gruebler 방정식
N은 지면을 포함한 강체의 수, J는 관절의 수, m은 차원에 따른 강체의 자유도, ci는 관절에 의한 독립적인 제한조건의 수, fi는 관절의 자유도라 할 때, Gruebler 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유도할 수 있다. 이때 고려하는 기구가 2차원(planar)일 경우 m=3, 3차원(spatial)일 경우 m=6의 값을 갖는다.
핀 조인트로만 이루어진 2차원 기구를 가정하면 m=3, fi=1이므로, Gruebler 방정식을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3. 예제
3.1. 3절 기구
3.2. 4절 기구
3.3. Watt I 6절 기구
참고문헌
- Kevin, M. L., and Frank, C. (2017). Modern Robotics: Mechanics, Planning, and Control. Cambridge University Press.
- Northwestern Robotics. (2017). Modern Robotics, Chapter 2.2: Degrees of Freedom of a Robot. YouTube. https://youtu.be/zI64DyaRUvQ. 2023.05.08.
- Erdman, A. G., and Sandor, G. N. (1997). Mechanism Design: Analysis and Synthesis (Vol. 1). Prentice-Hall, Inc.
반응형'Engineering > Mechanism'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구학 | 운동계수를 이용한 대수적 속도/가속도 해석 (0) 2023.06.23 기구학 | 대수적 가속도 해석 (1) 2023.06.16 기구학 | 대수적 속도 해석 (0) 2023.06.09 기구학 | 벡터와 복소수를 이용한 대수적 위치 해석 (0) 2023.06.02 기구학 | 삼각함수를 이용한 대수적 위치 해석 (2) 2023.05.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