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저자권: 제1저자와 저자 순서는 어떻게 정할까?Research/Graduate School 2024. 12. 20. 18:00
1. 논문 저자 연구논문이 학술지에 게재되면 해당 연구에 기여한 연구자들이 논문 아래에 저자로 기입된다. 이때 학술적 가치를 창출하고 논문을 작성하는 데 가장 많은 기여를 한 연구자가 제1저자로 맨 앞에 배치되며, 그 뒤로는 공저자가 기여도가 높은 순서대로 나열된다. 또한 해당 연구에 연구책임자들이 있다면 학술지와 연락을 담당하는 교신저자로서 맨 뒤부터 역순으로 배치된다. 연구책임자이면서도 연구에 많은 기여를 했다면 교신저자보다는 제1저자로 기록된다.2. 저자권 연구에 기여하는 방식은 기술적인 조언을 하거나 연구에 필요한 자금을 공급하는 등으로 다양할 수 있다. 그러나 연구논문을 평가하고 받아들이는 것은 학계이므로, 학계에서 인정하는 저자의 조건을 알아볼 필요가 있다. 국제의학학술지편집인위원회(I..
-
과학적 연구 방법: 연구는 어떻게 해야 할까?Research/Graduate School 2024. 12. 13. 18:00
1. 과학적 연구 방법 과학적 연구 방법(scientific method)은 현대 인류가 현상에 대한 지식을 쌓는 한 방법으로, 어떠한 현상을 관찰하여 인과관계를 설명하거나, 밝혀낸 바를 바탕으로 현상을 예측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전통이나 권위, 직관 등으로 지식을 쌓는 것과는 다르게 논리적이고 체계적이며, 타인에 의해 검증 가능해야 하므로 객관적이다. 한 현상의 원리와 인과관계를 규명하고자 과학적 연구 방법을 적용할 경우 대개 아래와 같은 단계를 거친다. 연구 분야에 따라 해당 방법은 다른 표현으로 세분화될 수 있으나 ▲연구 주제를 선정하고, ▲실험을 거쳐, ▲학계에 보고하는 세 단계는 동일하게 적용된다.● 관찰 (Observation)● 문제 정의 (Problem definition)● 선..
-
연구논문 탐구(2): 연구논문은 어떻게 작성해야 할까?Research/Graduate School 2024. 12. 6. 18:00
1. 어떤 순서로 어떻게 작성하면 좋을까? 계획한 바에 따라 원하는 실험 결과를 모두 얻었다면 이제 연구논문을 작성할 차례다. 연구논문을 읽을 때와 마찬가지로, 연구논문을 작성하는 데 정해진 순서는 없다. 본인의 기호에 따라 서론부터 결론까지 순서대로 작성할 수도, 결론부터 서론까지 거꾸로 작성할 수도 있겠다. 하지만 연구논문을 처음 작성하는 대학원생 입장에서는 아직 기호나 요령이 전혀 없을 터이니 그런 이들이 참고하면 좋을만한 방법을 소개한다. 1.1. 그림/표 사전에 구상한대로 실험을 마친 상태라면 필요한 데이터는 이미 가지고 있을 것이다. 데이터를 그림과 표로 시각화하여 연구논문에 배치하자. 이외에 논문에서 주장하는 바를 대표하는 그림이나, 그림으로 설명하는 것이 효과적인 정보를 그림으로 ..
-
실험 계획: 어떤 실험을 해야 할까?Research/Graduate School 2024. 11. 29. 18:00
1. 실험 계획을 할 필요가 있을까? 연구 주제를 잡았다면 이제 실험으로 가설을 검증할 차례다. 그때그때 생각나는 실험을 설계하고 수행하는 것도 방법이지만, 학위과정과 연구비에 제한이 있는 것처럼 우리에게 주어진 시간과 자원은 한정적이다. 의미 없는 실험을 하다가 정작 중요한 실험을 하지 못한다면 제대로 가설을 검증할 수 없다. 따라서 본격적으로 실험을 하기에 앞서 어떤 실험을 할지 계획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럼 어떤 실험을 가장 먼저 계획해야 할까? 당연한 이야기겠지만 연구논문이 독창적인 가설을 주장한다는 점을 생각한다면, 본인의 가설을 지지하기 위한 실험을 우선순위로 두고 실험을 계획해야 한다. 물론 연구논문을 작성할 때에도 단순히 실험 결과를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 가설을 지지하기 위한 장치로써..
-
아두이노 라이브러리 | I2C 멀티플렉서 TCA9548A 모듈Technology/Arduino 2024. 11. 27. 22:10
1. I2C 멀티플렉서 TCA9548A 모듈 I2C 통신을 지원하는 센서 모듈은 고유 주소를 가지고 있으며, 일부 모듈은 하드웨어를 수정하거나 소프트웨어로 레지스트리를 변경하여 본인의 주소를 변경할 수 있다. 하지만 앞서 다룬 AS5600 모듈과 같이 I2C 주소를 변경하는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센서를 여러 개 사용한다면 I2C 주소가 충돌하므로 문제가 발생한다. 이때 I2C 멀티플렉서 TCA9548A 모듈을 사용한다면 I2C 주소가 동일한 센서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TCA9548A 모듈은 총 여덟 개의 I2C 채널(SD0~SD7, SC0~SC7)을 지원하며, I2C 통신(SDA, SCK)을 매개로 마이크로프로세서와 다른 센서들을 연결한다. 아래 링크로 접속하면 해당 모듈을 구매할 수 있다. T..
-
아두이노 라이브러리 | 자기 엔코더 센서 AS5600 모듈Technology/Arduino 2024. 11. 26. 16:31
1. 자기 엔코더 센서 AS5600 모듈 엔코더 센서는 물체가 회전할 때마다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는 전자 소자로, 스텝모터에 부착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모터의 회전 위치를 알 수 있어 서보모터처럼 제어하거나, DC모터에 부착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모터의 회전 속력을 측정할 수 있다. 엔코더 센서는 동작 원리에 따라 흔히 광학식과 자기식으로 나눌 수 있는데, 해당 예제에서 다루고자 하는 자기 엔코더 센서 AS5600 모듈은 자기장 검출부에 해당하는 소자 위로 자석이 회전하면 자석의 회전 방향을 알아낼 수 있다. 이때 위 아래가 아닌 좌우로 N극과 S극을 가진 특수한 자석을 사용해야 올바르게 동작한다. AS5600 모듈은 DC 3.3V를 기반으로 동작하며, 이를 위한 전원 단자와 접지 단자를 가지고 있다. ..
-
아두이노 | BLDC모터Technology/Arduino 2024. 11. 25. 19:42
1. BLDC모터 BLDC모터(Brushless DC motor)는 표현 그대로, DC모터처럼 동작하지만 브러쉬(brush)가 없는 모터이다. 기존의 DC모터는 브러쉬 구조를 이용해 전극의 방향을 계속 바꿔주어야 한 방향으로 계속해서 회전할 수 있는데, 이는 전극과 브러쉬 사이의 마찰로 인해 효율이 낮고 수명이 비교적 짧다는 단점이 있다. BLDC모터는 브러쉬가 없기 때문에 DC모터보다 효율이 높고 수명도 길다는 장점이 있지만, 브러쉬 구조 없이 한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DC모터보다 복잡한 구조와 제어 방법을 가지고 있다는 단점이 있다. DC모터와는 달리 세 가닥의 전선이 모터로부터 나온다. 2. ESC DC모터는 양 전극에 전원을 연결하기만 하면 회전하기 때문에 제어가 단순하지만, BLDC모..
-
아두이노 라이브러리 | 서보모터 정밀 제어Technology/Arduino 2024. 11. 24. 13:39
1. 서보모터 각도 보정 다양한 종류의 서보모터를 사용하다보면 Servo.write(0)과 Servo.write(180)을 선언하여도 0도와 180도에 정확하게 도달하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수 있는데, 원인을 알기 위해서는 서보모터 객체에 디지털 핀 번호를 할당하는 메소드 Servo.attach()를 선언하는 방법을 상세하게 알 필요가 있다. Servo.attach()를 선언할 때 부가 기능으로 PWM 신호에서 HIGH를 유지하는 최소 시간과 최대 시간을 추가로 정의할 수 있는데, 이를 정의하지 않으면 최소 시간은 544 μs으로, 최대 시간은 2400 μs이 자동으로 정의된다. 이 상태에서 Servo.write(0)을 선언한다면 주기가 20 ms이면서 0.544 ms동안 HIGH를 유지하는 PWM 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