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자권: 제1저자와 저자 순서는 어떻게 정할까?Research/Graduate School 2024. 12. 20. 18:00
1. 논문 저자
논문 저자 연구논문이 학술지에 게재되면 해당 연구에 기여한 연구자들이 논문 아래에 저자로 기입된다. 이때 학술적 가치를 창출하고 논문을 작성하는 데 가장 많은 기여를 한 연구자가 제1저자로 맨 앞에 배치되며, 그 뒤로는 공저자가 기여도가 높은 순서대로 나열된다. 또한 해당 연구에 연구책임자들이 있다면 학술지와 연락을 담당하는 교신저자로서 맨 뒤부터 역순으로 배치된다. 연구책임자이면서도 연구에 많은 기여를 했다면 교신저자보다는 제1저자로 기록된다.
2. 저자권
저자권 연구에 기여하는 방식은 기술적인 조언을 하거나 연구에 필요한 자금을 공급하는 등으로 다양할 수 있다. 그러나 연구논문을 평가하고 받아들이는 것은 학계이므로, 학계에서 인정하는 저자의 조건을 알아볼 필요가 있다. 국제의학학술지편집인위원회(International Committee of Medical Journal Editors, ICMJE)에서는 저자가 되기 위한 조건을 아래와 같이 정의하고 있으며, 네 가지 항목을 모두 충족한 사람에게만 저자권이 부여된다. 여기서 주목해야할 점은 연구에 대한 실질적인 지적 공헌만을 공로로 인정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학계는 기술적 조언이나 자금 조달보다는, 연구의 방향성을 결정하고 실험 데이터를 수집하여 정제하는 작업에 가치를 두고 있다고 볼 수 있겠다.
● 연구 아이디어나 실험의 설계·수행·분석·해석에 실질적인 기여를 했고,
● 지적 산출물을 담은 연구논문 초안을 작성했고,
● 학술지에 출판되기까지 연구논문을 수정·보완했고,
● 연구논문이 담은 내용에 책임지는 것을 동의한 경우3. 저자권에 대한 사전 협의
저자권에 대한 사전 협의 누군가의 기여도를 평가하고 저자 순서를 정하는 것은 예민한 문제다. 나중에 투고 단계에서 서로 얼굴 붉힐 일이 없도록 연구 초기 단계에 저자 순서를 미리 정해놓자. 저자 순서에 대한 기대치를 미리 맞추는 것이 중요하다. 이와 동시에 논문 작성, 실험 보조 등 각자 어떤 부분에서 기여할 것인지 의논하여 역할을 분담하자. 이를 통해 연구에 참여하는 각자가 해당 연구에 얼마만큼 기여하면 될지 감을 잡을 수 있다. 물론 연구를 진전시키는 과정에서 연구에 기여하는 정도가 달라진다면 이에 맞게 저자 순서를 수정해야 한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논의하는 것을 연구가 마무리될 때까지 미루지 말자.
4. 감사의 말
앞서 언급한 저자의 조건을 갖추지 못했거나 학술지에서 제한하는 저자의 수로 인해 이름이 누락되었더라도, 누군가의 기여를 기록하고 싶다면 감사의 말(Acknowledgements)을 활용하자. 이공계 연구논문은 감사의 말에 어느 단체의 후원으로 연구가 수행되었는지 명기하는 편이지만, 연구에 직간접적으로 도움을 주어 개인적으로 감사를 표하고 싶은 사람이 있다면 어떤 부분에서 기여를 하였는지 이름과 함께 기록을 남기도록 하자.
[함께 읽으면 좋은 페이지]
연구논문 탐구(2): 연구논문은 어떻게 작성해야 할까?
1. 어떤 순서로 어떻게 작성하면 좋을까? 계획한 바에 따라 원하는 실험 결과를 모두 얻었다면 이제 연구논문을 작성할 차례다. 연구논문을 읽을 때와 마찬가지로, 연구논문을 작성하는 데 정
vedacube.tistory.com
참고문헌
- 정재엽. (2021). 내가 대학원을 가게 된다면. 원앤원북스.- 황은성 외 6명. (2014). 이공계 연구윤리 및 출판윤리 매뉴얼. 한국과학학술지편집인협의회.
- ICMJE. (n.d.). Defining the Role of Authors and Contributors. https://www.icmje.org/recommendations/browse/roles-and-responsibilities/defining-the-role-of-authors-and-contributors.html. 2024.05.02.반응형'Research > Graduate School'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학적 연구 방법: 연구는 어떻게 해야 할까? (0) 2024.12.13 연구논문 탐구(2): 연구논문은 어떻게 작성해야 할까? (0) 2024.12.06 실험 계획: 어떤 실험을 해야 할까? (0) 2024.11.29 연구논문 탐구(1): 연구논문은 어떻게 읽어야 할까? (1) 2024.11.01 연구 주제 선정: 연구 주제는 어떻게 정해야 할까? (0) 2024.0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