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nology/Arduino
-
아두이노 디지털 신호 출력 | LEDTechnology/Arduino 2023. 7. 14. 18:00
1. 아날로그 신호와 디지털 신호 아날로그 신호는 시간에 따라 연속적인 값을 갖는 반면, 디지털 신호는 0과 1만이 존재하고 그 사이 신호는 존재하지 않아 불연속인 값을 갖는다. 우리가 일상에서 관찰하는 모든 물리 현상은 아날로그 신호로 표현할 수 있지만, 이를 측정하는 과정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받아들인다. 우리가 눈으로 보고 관찰하는 모든 물리 현상은 아날로그 신호이지만, 우리가 측정하여 보는 결과는 모두 디지털 신호인 셈이다. 2. 디지털 신호 출력 아두이노 플랫폼을 통해 디지털 신호를 구현할 수 있다. 아두이노 소프트웨어에서 디지털 신호를 출력할 핀을 설정하고 함수를 작성하여 아두이노 하드웨어에 업로드하면, 앞서 설정한 핀을 통해 디지털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의 ..
-
아두이노 | 회로 기초 지식Technology/Arduino 2023. 7. 14. 17:00
1. 회로 기초 지식 아두이노 플랫폼을 다루기 위해서는 아두이노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사용 방법을 익히는 것뿐만 아니라, 회로를 어떻게 구성하는지, 회로를 구성할 때 어떤 점을 주의해야하는지 알아야 한다. 아두이노 플랫폼을 본격적으로 다루기에 앞서, 회로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들을 짚고 넘어가자. 2. 브레드보드 브레드보드(breadboard)는 전자 회로를 구성하는 데 사용하는 판이다.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에 회로를 구성할 때에는 납땜이 필수이지만, 브레드보드는 납땜이 필요 없어 PCB를 만들기 이전에 회로를 시험해보거나 연습하기 위해 많이 사용한다. 브레드보드에는 많은 구멍이 나 있는데, 위 그림과 같이 일정 구멍끼리 내부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전기가 ..
-
아두이노 시리얼 통신: 데이터 출력Technology/Arduino 2023. 7. 7. 18:00
1. 병렬 통신과 직렬 통신 서로 다른 두 기기 사이의 통신 방식은 크게 병렬(parallel) 통신과 직렬(serial) 통신으로 나눌 수 있다. 병렬 통신은 여러 가닥의 선을 통해 동시에 데이터를 주고 받는 반면, 직렬 통신은 송신선(TX)과 수신선(RX) 두 가닥을 통해 일렬로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병렬 통신이 직렬 통신에 비해 빠르다는 장점이 있지만, 한 번에 주고 받는 데이터의 크기에 따라 통신선의 수가 늘어난다는 단점이 있다. 직렬 통신은 데이터가 연결되어 들어오기 때문에 통신 시 데이터의 크기를 잘 구분해야 하지만, 수신기와 송신기 사이의 통신 속도만 맞춰준다면 병렬 통신보다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다. 아두이노 하드웨어가 PC와 통신하여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에는 직렬 통신을 이용한다...
-
아두이노 소프트웨어 사용 방법Technology/Arduino 2023. 6. 30. 18:00
1. 설치 먼저 아두이노 소프트웨어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 PC에 설치하자. 아두이노 소프트웨어 설치 파일은 아래 링크로 접속하면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SoftwareOpen-source electronic prototyping platform enabling users to create interactive electronic objects.www.arduino.cc 2. 초기 설정2.1. 보드 설정 아두이노 IDE 설치를 마쳤다면 소프트웨어를 실행해보자. 아두이노 IDE 상단 툴바에서 '툴'을 선택하면 '보드' 항목에서 우리가 어떤 아두이노 하드웨어를 사용하는지 설정할 수 있다. 아두이노 우노를 사용하고 있다면 'Arduino AVR Board' 항목으로 들어가 'Arduino Uno'..
-
아두이노 하드웨어 종류Technology/Arduino 2023. 6. 23. 18:00
1. 아두이노 하드웨어 종류 모든 아두이노 하드웨어는 기본적으로 연산을 담당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와 입출력 핀을 탑재하고 있다. 아두이노 하드웨어는 그 종류에 따라 각기 다른 성능과 옵션을 탑재하고 있는데, 본인이 수행하고자 하는 프로젝트에 따라 하드웨어 종류를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하면 된다. 현재까지 다양한 종류의 아두이노 하드웨어가 개발되어 출시되었지만, 대표적인 세 가지 하드웨어, ▲아두이노 우노(Uno), ▲아두이노 메가(Mega), ▲아두이노 나노(Nano)를 소개하고자 한다. 2. 아두이노 우노 아두이노 하드웨어 중 입문자가 가장 먼저 접하는 종류로, 익숙해지기 위한 연습용으로 사용하기에 적절하다. 디지털 입출력 핀 14개와 아날로그 입력 핀 6개를 가지고 있으며, PC와 USB 연결을..
-
아두이노란?Technology/Arduino 2023. 6. 16. 18:00
1. 아두이노 아두이노(Arduino)는 오픈 소스 기반의 제어 플랫폼으로, 하드웨어로는 하나의 기판 형태로 만들어진 소형 제어기가 있으며, 소프트웨어로는 명령문을 작성하여 소형 제어기에 입력하는 개발 도구가 있다. 아두이노가 출시되기 이전에 제어기를 다루기 위해서는 전공자 수준의 사용 경험이 필요했었지만, 2005년에 아두이노가 출시되면서 비전공자 또한 제어기를 사용하기에 편리해졌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많아지면서 아두이노를 활용한 프로젝트를 공유하는 커뮤니티가 전세계적으로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다. 2. 아두이노 하드웨어 아두이노 하드웨어는 기본적으로 연산을 담당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와 입출력 핀을 탑재하고 있다. 센서로 감지한 환경 변화를 입력 핀으로 받아들여, 적절한 연산 과정을 거친 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