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
저자권: 제1저자와 저자 순서는 어떻게 정할까?Research/Graduate School 2024. 12. 20. 18:00
1. 논문 저자 연구논문이 학술지에 게재되면 해당 연구에 기여한 연구자들이 논문 아래에 저자로 기입된다. 이때 학술적 가치를 창출하고 논문을 작성하는 데 가장 많은 기여를 한 연구자가 제1저자로 맨 앞에 배치되며, 그 뒤로는 공저자가 기여도가 높은 순서대로 나열된다. 또한 해당 연구에 연구책임자들이 있다면 학술지와 연락을 담당하는 교신저자로서 맨 뒤부터 역순으로 배치된다. 연구책임자이면서도 연구에 많은 기여를 했다면 교신저자보다는 제1저자로 기록된다.2. 저자권 연구에 기여하는 방식은 기술적인 조언을 하거나 연구에 필요한 자금을 공급하는 등으로 다양할 수 있다. 그러나 연구논문을 평가하고 받아들이는 것은 학계이므로, 학계에서 인정하는 저자의 조건을 알아볼 필요가 있다. 국제의학학술지편집인위원회(I..
-
연구논문 탐구(2): 연구논문은 어떻게 작성해야 할까?Research/Graduate School 2024. 12. 6. 18:00
1. 어떤 순서로 어떻게 작성하면 좋을까? 계획한 바에 따라 원하는 실험 결과를 모두 얻었다면 이제 연구논문을 작성할 차례다. 연구논문을 읽을 때와 마찬가지로, 연구논문을 작성하는 데 정해진 순서는 없다. 본인의 기호에 따라 서론부터 결론까지 순서대로 작성할 수도, 결론부터 서론까지 거꾸로 작성할 수도 있겠다. 하지만 연구논문을 처음 작성하는 대학원생 입장에서는 아직 기호나 요령이 전혀 없을 터이니 그런 이들이 참고하면 좋을만한 방법을 소개한다. 1.1. 그림/표 사전에 구상한대로 실험을 마친 상태라면 필요한 데이터는 이미 가지고 있을 것이다. 데이터를 그림과 표로 시각화하여 연구논문에 배치하자. 이외에 논문에서 주장하는 바를 대표하는 그림이나, 그림으로 설명하는 것이 효과적인 정보를 그림으로 ..
-
연구논문 탐구(1): 연구논문은 어떻게 읽어야 할까?Research/Graduate School 2024. 11. 1. 18:00
1. 연구논문 연구 주체가 연구 문제에 대해 논리적으로 내린 결론을 학계에 공유하기 위해 작성한 보고서이다. 연구 문제에 대한 독창적인 견해가 담겨있기 때문에 논란의 여지가 있으며, 다른 연구 주체들에 의해 평가된 뒤 학계에 받아들여져야 비로소 연구논문으로 인정된다. 따라서 학계에 받아들여지지 않은 보고서는 학술적 가치가 없다. 공학논문을 기준으로 다음과 같은 양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과학적 연구 방법(scientific method)과 동일한 흐름으로 전개된다. 이는 연구 주제의 특수성에 따라 융통성 있게 재구성 될 수 있다. ● Title● Abstract● Introduction● Materials and Methods● Results● Discussion● Conclusion○ ..
-
학위논문이란?Research/Graduate School 2024. 5. 3. 18:00
1. 학위논문 대학원생이 학위 수여를 위해 완성해야할 최종 결과물이면서도, 본인이 전공한 분야의 전문성과 독립적인 연구 역량을 증명하는 지적 산출물이다. 대학원생이 연구자로 활동하기 위한 자격증이자 명함으로도 볼 수 있다. 학위논문에는 대학원생이 다룬 문제에 대한 선행연구와 본인만의 고찰을 집대성한 내용이 담겨 있으며, 공과대학 박사 학위논문 기준으로 다음과 같은 양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연구 분야의 특수성에 따라 융통성 있게 재구성 될 수 있다.● Abstract ○ Acknowledgements ○ Table of Contents ○ List of Tables ○ List of Figures ● Introduction (= Motivation + Contributions + Outline)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