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논문 탐구(2): 연구논문은 어떻게 작성해야 할까?Research/Graduate School 2024. 12. 6. 18:00
1. 어떤 순서로 어떻게 작성하면 좋을까?
연구논문 작성하는 순서 계획한 바에 따라 원하는 실험 결과를 모두 얻었다면 이제 연구논문을 작성할 차례다. 연구논문을 읽을 때와 마찬가지로, 연구논문을 작성하는 데 정해진 순서는 없다. 본인의 기호에 따라 서론부터 결론까지 순서대로 작성할 수도, 결론부터 서론까지 거꾸로 작성할 수도 있겠다. 하지만 연구논문을 처음 작성하는 대학원생 입장에서는 아직 기호나 요령이 전혀 없을 터이니 그런 이들이 참고하면 좋을만한 방법을 소개한다.
1.1. 그림/표그림/표 사전에 구상한대로 실험을 마친 상태라면 필요한 데이터는 이미 가지고 있을 것이다. 데이터를 그림과 표로 시각화하여 연구논문에 배치하자. 이외에 논문에서 주장하는 바를 대표하는 그림이나, 그림으로 설명하는 것이 효과적인 정보를 그림으로 표현하여 논문에 배치하자. 그림과 표는 독자들에게 직관적으로 정보를 전달하는 장치인 만큼, 전달하고자 하는 바를 독자들이 한 눈에 인지할 수 있도록 표현해야 한다.
1.2. 연구방법 → 결과 → 고찰연구방법 > 결과 > 고찰 실험을 마친 상태이므로 연구방법과 결과에 들어갈 내용 또한 이미 결정된 상태일 것이다. 그러니 고민할 것 없이 단숨에 작성해보자. 연구방법은 실험에서 어떤 재료와 도구를 사용하였는지, 어떤 순서로 실험을 진행하였는지 등 독자가 해당 부분을 읽고 실험을 그대로 재현할 수 있을만큼 자세하게 기술한다. 결과는 실험으로부터 얻은 데이터를 간단하고 명료하게 정량적인 표현으로 작성한다. 고찰은 다음과 같은 내용이 포함되도록 작성한다.
● 실험 결과에 대한 해석
● 가설에 대한 결론
● 학술적으로 기여한 바
○ 한계점
○ 후속 연구1.3. 결론
결론 결론은 연구논문의 전반적인 내용을 요약하여 서술하는 부분으로, 아래와 같은 내용이 포함된 한 문단으로 작성한다. 서론에서 연구문제와 관련된 선행연구와 그들과의 차별점을 충분히 언급했다는 것을 상정하고 작성하도록 하며, 실험을 통해 얻은 지식이나 학술적으로 기여한 바를 강조하며 글을 마친다.
● 연구문제와 독창적인 가설
● 연구방법과 결과
● 가설에 대한 결론
● 학술적으로 기여한 바
1.4. 서론서론 서론에서는 해당 논문에서 다루려고 하는 문제가 무엇이고 왜 중요한지 독자에게 설득하는 목적을 가지고 작성한다. 일반적으로 아래와 같은 내용이 포함되도록 작성한다. 서론에서 연구문제와 그 중요성을 설득력 있게 제시하지 않으면 독자들의 관심을 유도할 수 없다. 무엇보다 본인이 제시하는 가설이 선행연구와 어떤 차별점을 갖는지 명확하게 언급하지 않으면 해당 연구논문의 독창성은 무엇인지 독자들이 파악하기 어려워진다. 이를 피하기 위해서는 수많은 선행연구를 단순히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 본인이 다루는 연구 문제와 유사한 문제의식을 가진 선행연구 위주로 소개하고 이들이 간과한 점을 서술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본인이 제시하는 가설이 선행연구들의 어떤 측면을 보완하는지, 즉 선행연구들과 어떤 차별점을 가지는지 효과적으로 드러낼 수 있다. 서론이 연구논문의 첫인상과 같은 부분인 만큼 독자들의 마음을 사로잡겠다는 마음으로 심혈을 기울여 작성하도록 하자.
● 연구 배경
● 연구문제
● 연구문제의 중요성
● 선행연구와 그들의 한계점
● 독창적인 가설
○ 연구논문의 구성 소개1.5. 초록 → 제목
초록 > 제목 초록에는 아래와 같은 내용이 포함된 한 문단으로 작성한다. 결론과 동일한 구성을 취하고는 있으나 방점을 두어야 하는 곳이 다르다. 결론은 해당 논문을 모두 읽은 독자를 상정하므로 실험으로 얻은 지식과 학술적으로 기여한 바에 방점을 두지만, 초록은 해당 논문을 처음 접하는 독자를 상정하므로 본 연구에서 다루는 문제와 이에 대한 본인의 가설이 무엇인지 설명하는 데 방점을 두어야 한다.
● 연구문제와 독창적인 가설
● 연구방법과 결과
● 가설에 대한 결론
● 학술적으로 기여한 바제목은 논문의 전반적인 내용을 포괄하도록 작성하되, 연구에서 강조하고 싶은 주요 키워드를 조합하여 작성한다.
2. 연구논문 퇴고
연구논문 퇴고 앞서 소개한 순서를 따라 제목까지 작성했다면 연구논문의 초고가 완성된 상태일 것이다. 퇴고를 위해 최소 일주일 정도 초고와 거리를 두었다가 다시 마주하자. 이번에는 독자가 되어 연구논문을 처음부터 끝까지 읽어보자. 서론에서는 연구 배경으로부터 연구문제까지 초점을 매끄럽게 좁혀들어가는지, 연구문제를 명료하게 제시하는지, 연구 필요성에 공감이 가는지, 선행연구들은 다루고자 하는 연구문제와 관련도가 높은지, 제시하고자 하는 가설은 선행연구와 어떤 점에서 차별점을 갖는지 살펴보자. 연구방법과 결과에서 제시한 내용들은 가설을 뒷받침하기 위한 장치로 잘 사용되었는지, 고찰에서 독창성을 주장할 때 논리적인 비약은 없는지 검토해보자.
[함께 읽으면 좋은 페이지]
연구 주제 선정: 연구 주제는 어떻게 정해야 할까?
1. 연구 주제 앞서 살펴보았듯이, 연구는 질문 혹은 문제를 정의하고 이에 답하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따라서 연구 주제를 정하기 위해서는 본인이 다루고자 하는 문제와 이를 해결하기 위한
vedacube.tistory.com
연구논문 탐구(1): 연구논문은 어떻게 읽어야 할까?
1. 연구논문 연구 주체가 연구 문제에 대해 논리적으로 내린 결론을 학계에 공유하기 위해 작성한 보고서이다. 연구 문제에 대한 독창적인 견해가 담겨있기 때문에 논란의 여지가 있으며, 다
vedacube.tistory.com
저자권: 제1저자와 저자 순서는 어떻게 정할까?
1. 논문 저자 연구논문이 학술지에 게재되면 해당 연구에 기여한 연구자들이 논문 아래에 저자로 기입된다. 이때 학술적 가치를 창출하고 논문을 작성하는 데 가장 많은 기여를 한 연구자가
vedacube.tistory.com
참고문헌
- 김세정, 윤은정, 유두희. (2022). 대학원생 때 알았었더라면 좋았을 것들 2. 클라우드나인.
- 김재현 외 17명. (2023). 문과 대학원생 생존일지. 학지사.
- 김창현. (2023). 대학원에서 살아남는 레시피. 애플씨드.
- 서울대학교 암 연구소. (n.d.). 학위논문 작성 지침. https://cri.snu.ac.kr/graduate/academics/paper/guide. 2024.03.24.- 엄태웅, 최윤섭, 권창현. (2019). 대학원생 때 알았더라면 좋았을 것들. 클라우드나인.
- 에세이리뷰. (2017). 논문 작성 팁: 효과적인 Discussion(고찰) 작성하기. https://blog.essayreview.co.kr/academic/research-writing-tips-editing-manuscript-discussion/. 2024.04.19.
- 정재엽. (2021). 내가 대학원을 가게 된다면. 원앤원북스.
반응형'Research > Graduate School'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저자권: 제1저자와 저자 순서는 어떻게 정할까? (0) 2024.12.20 과학적 연구 방법: 연구는 어떻게 해야 할까? (0) 2024.12.13 실험 계획: 어떤 실험을 해야 할까? (0) 2024.11.29 연구논문 탐구(1): 연구논문은 어떻게 읽어야 할까? (1) 2024.11.01 연구 주제 선정: 연구 주제는 어떻게 정해야 할까? (0) 2024.0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