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이썬 | 리스트 메소드: append, insert, extend, pop, remove, count, index, reverse, sortProgramming/Python 2025. 4. 11. 18:00
1. append()
append() 메소드 append() 메소드는 기존의 리스트 마지막 위치에 새로운 객체를 추가한다. 괄호 안에 추가하고자 하는 객체를 입력하면 된다. 정수, 실수, 문자열 등 다양한 자료형의 객체를 해당 메소드로 추가할 수 있다.
example_list = [] example_list.append(1) print(example_list) example_list.append('2') print(example_list) example_list.append([3.0, '4', 5]) print(example_list)
2. insert()
insert() 메소드 insert() 메소드는 사용자가 지정하는 특정한 위치에 새로운 객체를 추가한다. 괄호 안에 인덱스 번호와, 해당 위치에 추가하고자 하는 객체를 입력하면 된다. 정수, 실수, 문자열 등 다양한 자료형의 객체를 해당 메소드로 추가할 수 있다.
example_list = [1, 3.0, 5] example_list.insert(1, '2') print(example_list) example_list.insert(3, '4') print(example_list)
3. extend()
extend() 메소드 extend() 메소드는 입력 받은 복합자료형 객체를 모두 추출하여 기존의 리스트에 연장한다. 앞서 살펴보았던 append() 메소드와는 다르게 복합자료형 객체만 입력할 수 있다.
example_list = [] example_list.extend([1]) print(example_list) example_list.extend(['2']) print(example_list) example_list.extend([3.0, '4', 5]) print(example_list)
4. pop()
pop() 메소드 pop() 메소드는 리스트에서 가장 마지막에 있는 객체를 삭제한다. 이때 삭제한 객체를 반환하므로, 변수에 이를 할당하여 활용할 수 있다. 만약 리스트에서 특정 위치에 있는 객체를 삭제하고 싶다면, 그 객체에 해당하는 인덱스 번호를 괄호 안에 입력하면 된다.
example_list = [1, '2', 3.0, ['4', 5], 6] a = example_list.pop() print(example_list) print(a) b = example_list.pop(1) print(example_list) print(b)
5. remove()
remove() 메소드 remove() 메소드는 삭제하고자 하는 객체의 값을 직접 지정하여 삭제한다. 괄호 안에 리스트에서 삭제하고자 하는 값을 입력하면 된다. 만약 리스트에 같은 값을 가진 객체가 여러 개 존재한다면, 인덱스 번호 순서를 따라 왼쪽에서 첫 번째 객체를 먼저 삭제한다.
example_list = [1, '2', 3.0, '2', 4] example_list.remove('2') print(example_list)
6. count()
count() 메소드 count() 메소드는 리스트에서 특정 값을 가진 객체가 몇 개 있는지 반환하며, 반환되는 값을 변수에 할당하여 활용할 수 있다. 리스트에서 확인하고자 하는 값을 괄호 안에 입력하면 된다.
example_list = [1, '2', 3.0, ['4', 5], 6, (1, '2'), 7.0, '8', '2'] f = example_list.count('2') print(f) g = example_list.count('4') print(g) h = example_list.count((1, '2')) print(h)
7. index()
index() 메소드 index() 메소드는 찾고자 하는 객체가 리스트 내에서 몇 번 인덱스에 있는지 반환하며, 반환되는 값을 변수에 할당하여 활용할 수 있다. 만약 리스트 내에 동일한 값을 가진 객체가 여러 개 존재한다면, 인덱스 0번을 시작으로 탐색하여 먼저 발견한 객체의 인덱스 번호를 반환한다.
example_list = [1, '2', 3.0, ['4', 5], 6, (1, '2'), 7.0, '8', '2'] i = example_list.index('2') print(i) j = example_list.index('4') print(j) k = example_list.index(['4', 5]) print(k)
8. reverse()
reverse() 메소드 reverse() 메소드는 리스트 내에 있는 객체의 순서를 반대로 뒤집는다.
example_list = [1, '2', 3.0, ['4', 5], 6, (1, '2'), 7.0, '8', '2'] example_list.reverse() print(example_list)
9. sort()
sort() 메소드 sort() 메소드는 리스트의 객체를 오름차순이나 알파벳 순서로 정렬한다. 모든 객체는 서로 동등하게 비교할 수 있어야 하므로, 해당 메소드를 사용하려면 리스트의 모든 객체가 정수 혹은 실수이거나, 문자열이어야 한다. 만약 내림차순이나 알파벳 반대 순서로 정렬하고 싶다면 아래 예시처럼 키워드 전달인자를 추가로 입력하면 된다.
example_list = [1, 5.0, 2, 7.0, 4] example_list.sort() print(example_list) example_list.sort(reverse=True) print(example_list)
[함께 읽으면 좋은 페이지]
파이썬 | 복합자료형(1): 리스트, 튜플
1. 복합자료형 한 변수에 한 가지 값만을 저장할 수 있는 기본자료형에 비해, 복합자료형은 한 변수에 여러 가지의 값을 저장하고 다룰 수 있다. 이러한 복합자료형에는 리스트와 튜플, 딕셔
vedacube.tistory.com
참고문헌
- 박진수. (2019). 바로 쓰는 파이썬.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반응형'Programming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 딕셔너리 메소드: update, popitem, pop, keys, values, items (0) 2025.04.18 파이썬 | 조건문과 반복문(1): if-elif-else, while, for (0) 2025.04.04 파이썬 | 복합자료형(2): 딕셔너리, 세트 (1) 2025.03.07 파이썬 | 복합자료형(1): 리스트, 튜플 (0) 2025.02.28 파이썬 | 변수와 기본자료형: 정수형, 실수형, 논리형, 문자열 (0) 2025.02.21